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교육
  2. 누비란
누비 사진  

누비를 말하다


  • 누비장 (* 국가무형문화재 제 107호)
  •    일반적으로 누비란 옷감의 보강과 보온을 위해 사용된 재봉기법으로 거죽과 안을 맞춘 옷감사이에 솜을 넣고 규칙적으로 반복해서 홈질로 바느질해 주는 것을 말한다.
       누비는 의복을 비롯해서 침구류, 각종 보자기와 주머니류 등 생활용품에도 다양하게 이용되었다. 우리나라의 누비는 면화 재배 이후 적극적으로 활성화 되었으며, 조선시대의 다양한 실물자료가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미 상고시대부터 명주솜이나 동물의 털, 식물성 인피섬유 갈대 등을 이용한 누비 기법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고분벽화인 5세기경의 감신총 서벽 무인상의 상의는 사선으로 누벼진 갑주로 발표된 바 있다. 한편 승려들이 세속의 부귀영화를 버리고 산중에서 수도하는 과정에서 일상복으로 착용하는 납의는 해진 옷을 수십년동안 기워 입은 것에서 유래하였으며, 이는 점차 누비기법으로 발전하였는데 일반인 등 사이에서도 방한과 내구성, 실용성 등의 이점을 따라 전래되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누비는 상대부터 방한용·호신용·종교용으로 다양하게 응용되었다.
       누비는 직선을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해서 누벼 주는데 누비간격이나 바느질 땀수에 따라 잔누비(세누비)·중누비·드문누비 등으로 나뉘며, 형태에 따라 오목누비·볼록누비·납작누비로 대별 된다. 잔누비의 누비간격은 0.3㎝ ~ 0.5cm, 중누비는 1㎝ ~ 3cm, 드문누비는 3cm이상이다. 솜을 넣어 누빈 것을 볼록누비라 하고, 솜을 넣지 않고 천과 천만 누빈 것을 납작누비 또는 평누비라 하며, 천과 천만 누빈 후 다리미로 꺽은 것을 오목누비라 한다. (평누비나 오목누비에 닥종이를 이용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누비방법은 물론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손누비이며, 누비용구로 는 옷감 재질과 동일한 실, 누비두께에 따른 다양한 바늘 종류, 가위, 인두, 밀대, 자, 골무 등이 있다.
       방법은 누비재료를 준비해서 왼쪽은 밀대에 말아 왼손에 잡고 오른쪽은 오른팔로 고정시킨 후 선을 따라 누벼준다 누비선을 곧고 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경사 한올씩을 누비간격 마다 당겨 주어 누비선을 표시하기도 하고 천을 꺾어주어 자국을 내거나 쵸크로 표시하기도 한다. 누비 바느질 기법은 홈질이 대부분이나 경우에 따라 박음질도 사용된다. 또한 의복이나 침구류에는 규칙적인 직선 누비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주머니나 보자기류에도 누비자체를 문양으로 살려 곡선과 직선으로 조화를 이룬 것도 있다. 누비용 실은 먼저 길이를 일정하게 잘라 초를 먹인 다음 다려놓고 써야 솜이 묻어나오지 않는다.
       누비의 효과는 거죽과 안감이 동일해야 하고 무늬가 없는 옷감이 더욱 효과적이다. 명주는 부드럽고 가볍고 따뜻하며 작업도 무명보다 용이하다. 누비 옷은 세탁후에도 복잡한 처리없이 착용할 수 있어 실용적이다.


    ● 도움받는 자료
    ○ 문화재 관리국 홈페이지 (www.ocp.go.kr)





     

    고 객 센 터

    계 좌 정 보


    • 예금주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